- 최근이슈
- 2025년
- 2025-02-21, 일본 완구 시장, 저출산에도 지속 성장
-
최근 몇 년간 일본 완구 시장은 저출산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2023년에는 시장 규모가 처음으로 1조 엔을 돌파하며 신기록을 세웠다. 일본완구협회에 따르면, 일본의 완구 시장은 2000년대부터 7000억~8000억 엔대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2021년 8900억 엔, 2022년 9500억 엔을 기록한 데 이어 2023년에는 전년 대비 7.1% 증가하며 1조193억 엔에 도달했다.
이러한 성장세는 2019년 이후 4년 연속 지속되며 매년 최고치를 경신하는 추세다.
-
성인 타깃 확대, 교육 완구 수요 증가, 라이선스 제품의 인기
일본완구협회의 분석과 관련 언론보도에 따르면, 일본 완구 시장의 성장 요인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① 먼저 성인 타깃 완구 시장 확대다. 일본에서는 ‘[키덜트|키덜트]’ 문화가 확산하면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완구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수집형 완구 및 한정판 제품이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인기를 끌며 매출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키덜트(kidult)란 kid(어린이)와 adult(어른)의 합성어로, 어른이 돼서도 어린 시절의 감성을 추구하는 성인을 지칭한다.
② 다음으로 아동용 교육 완구 시장의 성장이 있다. 일본 내에서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유아 및 아동용 학습 완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가정 내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교육용 완구의 판매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③ 마지막으로 라이선스 및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인기가 있다. 일본의 애니메이션, 게임, 캐릭터 브랜드와 협업한 완구들이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으며, 유명 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한정판 완구 및 굿즈가 출시되며 시장 성장을 이끌고 있다.
시사점
저출산 문제에도 불구하고 일본 완구 시장은 교육용 완구와 키덜트층을 대상으로 한 제품이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특히 과거 히트 상품의 재출시가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키덜트 소비자가 시장 확대의 중요한 계층으로 자리 잡고 있다.
완구 전문 매장에서도 이러한 변화가 눈에 띄는데, 일본 최대 완구 및 유아용품 전문점인 토이저러스는 2024년 10월 오사카부 카도마시 라라포트에 오픈한 신규매장에서 절반을 키덜트 상품 전용 코너로 구성하는 등, 성인 소비자를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키덜트층이 새로운 주역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 같은 성장세 속에서 한국 기업이 일본 완구 시장에 진출할 기회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4차 한류 열풍이 불면서 식품, 화장품, 잡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K-컬쳐 소비가 확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 제조·판매업체와 한국 업체 간 협업도 활발해지고 있다.
일본의 완구 제조·판매업체 A사는 KOTRA 도쿄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이하는 올해는 식품, 화장품, 잡화 분야에서 한일 협업을 통한 신제품 출시가 일본을 비롯해 글로벌 시장에서도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특히 잡화 분야의 경우 한국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 완구 상품이 일본 현지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는데, 2024년 8월 도쿄에서 열린 ‘오모챠(완구) 쇼 2024’에서는 한국 애니메이션 캐릭터인 ‘캐치! 티니핑’이 화제를 모았으며, 현재 일본 완구 제조·판매 전문업체 주식회사 리릭을 통해 현지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다.
이처럼 일본 내에서 K-팝, K-드라마, 웹툰, 애니메이션 등의 인기가 지속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이를 활용한 완구 및 굿즈 시장 공략도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현지 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진출 기회를 모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 2025-02-21, 일본 완구 시장, 저출산에도 지속 성장
- 2025년